@inup
언제나 감사합니다 👨‍💻

🎉 K-AI Purdue 프로그램 선발

April 06, 2025

미국 퍼듀대학교에서 진행되는 AI 연수 프로그램에 선발되었다. 2025년 여름, KAI PURDUE 프로그램에 참가한다. 전국 SW중심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AI 이론 및 실무 교육, 팀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으로, 미국 퍼듀대학교에서 6월부터 8월까지 진행된다. 지원과정 학기 초, 학과 홈페이지에 퍼듀대 글로벌 AI 연수 프로그램 모집 공고가 올…


SQLD 합격

April 04, 2025

SQL Developer(개발자) 자격시험에 합격했다. 개인적으로 SQL은 익숙한 편이었고, 대학 데이터베이스 수업에서도 Oracle SQL을 다뤘기 때문에 전반적인 내용이 낯설지 않았다. 별도의 수험서나 문제집은 따로 구입하지 않았고, 시험 3일 전부터 sqld.kr 사이트에서 기출 모의고사를 반복해서 풀며 정리했다. 실무 경험과 수업에서 다뤘던 내용들…


📊 정렬된 데이터를 순차 탐색하는 스위핑 (Sweeping)

March 05, 2025

스위핑 알고리즘이란 스위핑(Sweeping) 알고리즘은 주어진 문제에서 구간이나 이벤트를 순차적으로 처리하여 결과를 도출하는 알고리즘 기법이다. 이 기법은 특히 구간 합 문제, 이벤트 처리 등과 같은 문제에 유용하게 적용된다. 스위핑 기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진 구간이나 사건들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정렬한 뒤, 이를 하나씩 처리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를…


SW 마에스트로 2차 코딩 테스트 (불합격)

February 28, 2025

SW마에스트로 2차 코딩 테스트에서 떨어졌다. 구현 문제엔 어느 정도 자신 있다고 생각해서, 준비하는 동안엔 오히려 그래프나 DP 같은 다른 유형에 시간을 더 썼다. 지금 생각해보면 그 판단이 좀 아쉬웠던 것 같다. 그래도 알고리즘 전반을 다시 훑을 수 있었고, 꾸준히 문제를 풀면서 감각을 유지하려 했던 시간들이 나름 의미는 있었다. 결과는 아쉬웠지만, …


크래프톤 정글 8기 최종 합격

February 17, 2025

크래프톤 정글 8기에 최종 합격하였습니다.


📊 음수 가중치가 있는 그래프의 최단 경로

February 04, 2025

벨만-포드 알고리즘 벨만-포드 알고리즘은 최단 경로를 구하는 알고리즘 중 하나로, 다익스트라 알고리즘과 비슷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중요한 차이점은 음수 가중치가 있는 그래프에서도 최단 경로를 구할 수 있다는 부분이다. 이 점 때문에 다익스트라와는 다른 방식으로 동작한다. 다익스트라 알고리즘과의 차이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은 음수 가중치가 없는 그래프에서 사…


📊 위상 정렬

February 01, 2025

위상 정렬 위상 정렬(Topological Sort)은 방향성 그래프에서 각 정점을 선후 관계에 맞게 정렬하는 알고리즘이다. 이 알고리즘은 주로 작업이나 이벤트의 순서를 결정할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여러 작업을 수행할 때 어떤 작업이 다른 작업보다 먼저 실행되어야 한다면, 이를 그래프 형태로 표현하고 위상 정렬을 통해 적절한 실행 순서를 도출할 수 …


AWS EC2와 Flask로 웹 사이트 배포하기

January 31, 2025

AWS(아마존 웹 서비스)와 Flask를 이용해 간단한 정적 페이지를 배포하는 방법에 대해 서술합니다. 로컬 개발 환경 구축 실제 웹에 배포하기에 앞서 빠른 개발 및 테스트, 디버깅을 위해 로컬(내 컴퓨터)에서의 개발 환경을 구축하고 실행해야 합니다. 이미 환경이 갖추어져 있다면 이 과정을 건너뛰어도 좋습니다. Python 가상 환경 설정 프로젝트의 루트…


AI '딥시크'는 얼마나 똑똑할까

January 27, 2025

새롭게 등장한 생성형 AI 중국의 인공지능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공개한 추론형 AI 모델 R1이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딥시크는 모든 사용자에게 고성능 모델을 무제한으로 무료 제공하며, 그 성능 또한 뛰어나 '가성비' 좋은 AI가 탄생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적은 비용으로 개발된 점이 부각되고 있다. o1만큼 똑똑하고, o1보다 …


📘 책 'Clean Code' 리뷰 (1)

January 24, 2025

1장 - 깨끗한 코드 르블랑의 법칙 (Leblanc's Law) 나중은 결코 오지 않는다. 급해서, 서두르느라... 한 번 작성한 쓰레기 코드를 나중에 정리하는 일은 결코 없다. 쓰레기 코드는 팀의 생산성을 크게 낮춘다. (얽히고설킨 코드는 매번 '해독'을 요구한다) 떨어진 생산성을 높여야 한다는 압박이 결국 더 나쁜 코드를 많이 생산하게 한다. 코드 실…